시편 90편 1-17절
1 주여 주는 대대에 우리의 거처가 되셨나이다
2 산이 생기기 전, 땅과 세계도 주께서 조성하시기 전 곧 영원부터 영원까지 주는 하나님이시니이다
3 주께서 사람을 티끌로 돌아가게 하시고 말씀하시기를 너희 인생들은 돌아가라 하셨사오니
4 주의 목전에는 천 년이 지나간 어제 같으며 밤의 한 순간 같을 뿐임이니이다
5 주께서 그들을 홍수처럼 쓸어가시나이다 그들은 잠깐 자는 것 같으며 아침에 돋는 풀 같으니이다
6 풀은 아침에 꽃이 피어 자라다가 저녁에는 시들어 마르나이다
7 우리는 주의 노에 소멸되며 주의 분내심에 놀라나이다
8 주께서 우리의 죄악을 주의 앞에 놓으시며 우리의 은밀한 죄를 주의 얼굴 빛 가운데에 두셨사오니
9 우리의 모든 날이 주의 분노 중에 지나가며 우리의 평생이 순식간에 다하였나이다
10 우리의 연수가 칠십이요 강건하면 팔십이라도 그 연수의 자랑은 수고와 슬픔뿐이요 신속히 가니 우리가 날아가나이다
11 누가 주의 노여움의 능력을 알며 누가 주의 진노의 두려움을 알리이까
12 우리에게 우리 날 계수함을 가르치사 지혜로운 마음을 얻게 하소서
13 여호와여 돌아오소서 언제까지니이까 주의 종들을 불쌍히 여기소서
14 아침에 주의 인자하심이 우리를 만족하게 하사 우리를 일생 동안 즐겁고 기쁘게 하소서
15 우리를 괴롭게 하신 날수대로와 우리가 화를 당한 연수대로 우리를 기쁘게 하소서
16 주께서 행하신 일을 주의 종들에게 나타내시며 주의 영광을 그들의 자손에게 나타내소서
17 주 우리 하나님의 은총을 우리에게 내리게 하사 우리의 손이 행한 일을 우리에게 견고하게 하소서 우리의 손이 행한 일을 견고하게 하소서
오늘 본문을 묵상하는데, 제가 정말 좋아하는 한 시가 스쳐지나갑니다. 천상병 시인이 지은 “귀천”이라는 시인데, 그 중에서 이 구절이 떠오릅니다.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가서, 아름다웠더라고 말하리라
천상병 시인이 당시 이 시를 지을 때, 고문으로 인해 몸과 정신이 많이 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은 시가 이 귀천이라는 시입니다.
그의 삶이 고문으로 인해 처절하고, 암담했지만 그는 이 세상을 바라본 것이 아니라, 이 세상을 넘어선 하나님의 품을 기대하고 소망했기 때문에,
현실의 고난도 아름다움과 기쁨으로 바라볼 수 있었습니다.
이 모세의 고백이 담긴 오늘 본문도 이러한 기쁨에 대해서 노래합니다. 사람의 죄로 인해, 하나님은 그들을 떠나셨습니다.
그 결과로 사람의 인생은 수고와 슬픔으로 점철되고, 세상은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가 되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모세는 13-15절에서 간구합니다.
주님께서 돌아오셔서, 그의 은혜로 불쌍히 여겨달라고 요청합니다.
주님이 행하시는 일은 이스라엘 백성의 회복이며, 하나님의 은혜를 통해 기쁨을 주신다는 것을 모세는 분명히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모세는 기도합니다. 인생의 허무를 깨닫고, 하나님의 은혜를 간구하며, 사는 날 동안 주로 인해 즐겁고 기쁘게 해달라고 말입니다.
저는 이 본문을 읽으면서 기쁨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참된 기쁨은 무엇이며, 세상을 기쁘게 산다는 것이 무엇일까요?
제가 성경을 읽으면서 찾은 답은 “구원”입니다. 우리는 죄로 인해 하나님의 진노와 죽음이라는 벌만 기다리는 암담한 인생입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을 의롭다 칭하시고, 천국을 주심으로 기쁨 가운데 거하게 하십니다. 세상을 기쁘게
산다는 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을 받은 우리는 천국과 영원한 삶을 받았기 때문에, 기쁠 수밖에 없습니다.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는 우리의 삶 속에서도 부어지기 때문에, 주님 안에서 평안하고, 성령 안에서 기뻐하며 살아가게 됩니다.
30의 인생을 되돌아보려니 마치 낮잠을 자고 일어난 것 같이 짧게만 느껴집니다. 인생의 주도권을 내가 가지고 살아왔다고 생각했지만,
어느 것 하나 내 마음대로 되는 것이 없던 인생이었습니다. 항상 최고와 최선을 바랐지만, 돌아보니 넘어지고, 좌절하고, 슬픔도 많았던 자갈밭 같았습니다.
그런 삶에 찾아와 단비를 내려주시는 분은 하나님이셨습니다. 나를 구원하시고, 슬픔과 괴로움 속에 기쁨의 날들을 허락하신 하나님의 은혜가 촉촉하게
마음을 적십니다.
우리가 이 고난의 삶을 살아가는 시간은 찰나와 같이 짧지만, 우리가 천국에서 기쁨을 누릴 시간은 영원합니다. 우리의 기쁨은 바로 하나님께 있음을 깨닫고,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을 기쁨 가운데 거하시며, 선한 열매를 많이 맺어가는 온 사랑의교회 모든 성도님들이 되시길 소망합니다.
(2025.06.05.목요일 리딩지저스 핵심읽기장)
시편 90편 1-17절
1 주여 주는 대대에 우리의 거처가 되셨나이다
2 산이 생기기 전, 땅과 세계도 주께서 조성하시기 전 곧 영원부터 영원까지 주는 하나님이시니이다
3 주께서 사람을 티끌로 돌아가게 하시고 말씀하시기를 너희 인생들은 돌아가라 하셨사오니
4 주의 목전에는 천 년이 지나간 어제 같으며 밤의 한 순간 같을 뿐임이니이다
5 주께서 그들을 홍수처럼 쓸어가시나이다 그들은 잠깐 자는 것 같으며 아침에 돋는 풀 같으니이다
6 풀은 아침에 꽃이 피어 자라다가 저녁에는 시들어 마르나이다
7 우리는 주의 노에 소멸되며 주의 분내심에 놀라나이다
8 주께서 우리의 죄악을 주의 앞에 놓으시며 우리의 은밀한 죄를 주의 얼굴 빛 가운데에 두셨사오니
9 우리의 모든 날이 주의 분노 중에 지나가며 우리의 평생이 순식간에 다하였나이다
10 우리의 연수가 칠십이요 강건하면 팔십이라도 그 연수의 자랑은 수고와 슬픔뿐이요 신속히 가니 우리가 날아가나이다
11 누가 주의 노여움의 능력을 알며 누가 주의 진노의 두려움을 알리이까
12 우리에게 우리 날 계수함을 가르치사 지혜로운 마음을 얻게 하소서
13 여호와여 돌아오소서 언제까지니이까 주의 종들을 불쌍히 여기소서
14 아침에 주의 인자하심이 우리를 만족하게 하사 우리를 일생 동안 즐겁고 기쁘게 하소서
15 우리를 괴롭게 하신 날수대로와 우리가 화를 당한 연수대로 우리를 기쁘게 하소서
16 주께서 행하신 일을 주의 종들에게 나타내시며 주의 영광을 그들의 자손에게 나타내소서
17 주 우리 하나님의 은총을 우리에게 내리게 하사 우리의 손이 행한 일을 우리에게 견고하게 하소서 우리의 손이 행한 일을 견고하게 하소서
오늘 본문을 묵상하는데, 제가 정말 좋아하는 한 시가 스쳐지나갑니다. 천상병 시인이 지은 “귀천”이라는 시인데, 그 중에서 이 구절이 떠오릅니다.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가서, 아름다웠더라고 말하리라
천상병 시인이 당시 이 시를 지을 때, 고문으로 인해 몸과 정신이 많이 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은 시가 이 귀천이라는 시입니다.
그의 삶이 고문으로 인해 처절하고, 암담했지만 그는 이 세상을 바라본 것이 아니라, 이 세상을 넘어선 하나님의 품을 기대하고 소망했기 때문에,
현실의 고난도 아름다움과 기쁨으로 바라볼 수 있었습니다.
이 모세의 고백이 담긴 오늘 본문도 이러한 기쁨에 대해서 노래합니다. 사람의 죄로 인해, 하나님은 그들을 떠나셨습니다.
그 결과로 사람의 인생은 수고와 슬픔으로 점철되고, 세상은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가 되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모세는 13-15절에서 간구합니다.
주님께서 돌아오셔서, 그의 은혜로 불쌍히 여겨달라고 요청합니다.
주님이 행하시는 일은 이스라엘 백성의 회복이며, 하나님의 은혜를 통해 기쁨을 주신다는 것을 모세는 분명히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모세는 기도합니다. 인생의 허무를 깨닫고, 하나님의 은혜를 간구하며, 사는 날 동안 주로 인해 즐겁고 기쁘게 해달라고 말입니다.
저는 이 본문을 읽으면서 기쁨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참된 기쁨은 무엇이며, 세상을 기쁘게 산다는 것이 무엇일까요?
제가 성경을 읽으면서 찾은 답은 “구원”입니다. 우리는 죄로 인해 하나님의 진노와 죽음이라는 벌만 기다리는 암담한 인생입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을 의롭다 칭하시고, 천국을 주심으로 기쁨 가운데 거하게 하십니다. 세상을 기쁘게
산다는 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을 받은 우리는 천국과 영원한 삶을 받았기 때문에, 기쁠 수밖에 없습니다.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는 우리의 삶 속에서도 부어지기 때문에, 주님 안에서 평안하고, 성령 안에서 기뻐하며 살아가게 됩니다.
30의 인생을 되돌아보려니 마치 낮잠을 자고 일어난 것 같이 짧게만 느껴집니다. 인생의 주도권을 내가 가지고 살아왔다고 생각했지만,
어느 것 하나 내 마음대로 되는 것이 없던 인생이었습니다. 항상 최고와 최선을 바랐지만, 돌아보니 넘어지고, 좌절하고, 슬픔도 많았던 자갈밭 같았습니다.
그런 삶에 찾아와 단비를 내려주시는 분은 하나님이셨습니다. 나를 구원하시고, 슬픔과 괴로움 속에 기쁨의 날들을 허락하신 하나님의 은혜가 촉촉하게
마음을 적십니다.
우리가 이 고난의 삶을 살아가는 시간은 찰나와 같이 짧지만, 우리가 천국에서 기쁨을 누릴 시간은 영원합니다. 우리의 기쁨은 바로 하나님께 있음을 깨닫고,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을 기쁨 가운데 거하시며, 선한 열매를 많이 맺어가는 온 사랑의교회 모든 성도님들이 되시길 소망합니다.
(2025.06.05.목요일 리딩지저스 핵심읽기장)